반응형

처서는 양력으로 8월 23일경으로 입추와 백로 사이에 드는 절기입니다

또한 처서(處暑)는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더위가 한풀 꺾이면서 아침 저녁으로 제법 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어 오기 시작하는데요

요즘 새벽에 바람이 차서 절기의 날씨가 제법 잘 들어 맞는 것 같습니다

 

           처서와 관련된 풍속

<포쇄>

습도가 높은 여름 동안 눅눅해진 책과 옷을 밖에 내다 말렸는데요 장마철이 지난 후 햇볕에 잘 말려주면 장기간 보존할 수 있어 보통 농부는 곡식을, 선비는 책, 부녀자는 옷을 햇볕에 내다 말렸습니다

<벌초>

 따가운 햇볕은 누그러지고 풀들의 성장이 멈춰 처서 무렵 벌초를 가장 많이 합니다

 

          처서와 관련된 속담

모기도 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 ☞ 처서의 서늘함 때문에 파리, 모기가 점차 사라짐을 뜻함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 ☞ 처서가 지나가면 모든 식물은 생육이 정지되어 시들기 시작함을 뜻함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의 든 쌀이 줄어든다 ☞ 처서 무렵의 날씨가 중요함을 표현

처서 날 비가 오면 큰 애기들이 울고 간다 ☞ 부안과 청산에서 전해내려오는 속담으로 이 지방은 대추농사가 유명한데 처서에 비가 오면 흉작을 면치 못해 열매를 맺지 못하면 혼사를 앞둔 큰 애기들의 혼수장만 걱정이 앞서기 때문에 이러한 속담이 생겼다고 합니다 즉 처서비를 꺼리는 표현

처서 밑에는 까마귀 대가리가 벗어진다 ☞ 처서 무렵의 마지막 더위가 매우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처서에 장벼 패듯 ☞ 처서 무렵의 벼가 얼마나 성장하는가를 잘 보여주는 속담으로 무엇이 한꺼번에 성하거나 사방에서 요란히 나타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정 칠월 건들 팔월 ☞ 칠팔월이 어정어정 건들건들하는 사이 후딱 지나간다는 뜻으로 다른 때보다 한가한 농사철이라는 것을 재밌게 표현한 말

옛 선인들이 처서 무렵에 해온 풍습 중 하나인 포쇄처럼 무더운 여름 내내 닫혀 있던 장롱문도 열고 이불도 햇볕에 바삭바삭 말려주세요

또 무더위로 고생하셨던 모든분들, 오늘 밤은 시원하게 주무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입니다  (0) 2016.10.25
국군의 날은 왜 10월 1일인가요?  (0) 2016.10.01
24절기 이야기 - 백로  (0) 2016.09.07
24절기 - 입추  (0) 2016.08.24
24절기 - 대서와 관련된 이야기  (0) 2016.07.22
반응형

대서는 양력으로 7월 22일 또는 23일에 해당하는데요

바로 오늘이 24절기 중 12번째 절기인 대서입니다

더위가 가장 심하다는 대서, 그래서인지 날씨가 무척 덥습니다

이런 날씨는 최대한 바깥활동을 줄이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대서와 관련된 풍속

대서는 중복 무렵일 경우가 많아 삼복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다고 합니다

 

 

          대서와 관련된 제철 음식

비가 너무 많이 오게되면 과일의 당도가 떨어지지만 날이 가물면 단맛이 강해져

대서 때는 더위와 갈증을 식혀주는 참외, 수박, 복숭아 등 이러한 과일이 맛있다고 합니다

 

          대서와 관련한 속담

속담은 옛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대서와 관련한 속담을 보면 더위를 재치있게 표현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염소 뿔도 녹는다  ☞ 단단한 염소 뿔도 녹일 만큼 덥다는 얘기입니다

육칠월 더위에 암소 뿔 빠진다  ☞ 얼마나 더운지 나타내는 속담입니다

칠월 저녁 해에 황소 뿔 녹는다  ☞ 저녁은 선선해야 하는데 대서의 저녁이 매우 더움을 소뿔로 표현했습니다

삼복더위에 소뿔도 꼬부라든다 ☞ 삼복의 날씨가 매우 더워 소뿔조차도 녹을 정도라는 뜻입니다

더위 먹은 소가 달만 봐도 헐떡인다 ☞ 태양처럼 생긴 달만 봐도 더운 게 느껴질 정도로 더움을 나타내는 뜻입니다

이상 24절기 중 대서와 관련된 이야기를 찾아보았는데요

이렇게 더운 날은 집에서 선풍기 바람 쏘이며 시원하게 수박을 먹으며 더위를 쫓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반응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입니다  (0) 2016.10.25
국군의 날은 왜 10월 1일인가요?  (0) 2016.10.01
24절기 이야기 - 백로  (0) 2016.09.07
24절기 - 처서  (0) 2016.08.25
24절기 - 입추  (0) 2016.08.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