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서는 양력으로 8월 23일경으로 입추와 백로 사이에 드는 절기입니다
또한 처서(處暑)는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더위가 한풀 꺾이면서 아침 저녁으로 제법 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어 오기 시작하는데요
요즘 새벽에 바람이 차서 절기의 날씨가 제법 잘 들어 맞는 것 같습니다
처서와 관련된 풍속
<포쇄>
습도가 높은 여름 동안 눅눅해진 책과 옷을 밖에 내다 말렸는데요 장마철이 지난 후 햇볕에 잘 말려주면 장기간 보존할 수 있어 보통 농부는 곡식을, 선비는 책, 부녀자는 옷을 햇볕에 내다 말렸습니다
<벌초>
따가운 햇볕은 누그러지고 풀들의 성장이 멈춰 처서 무렵 벌초를 가장 많이 합니다
처서와 관련된 속담
모기도 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 ☞ 처서의 서늘함 때문에 파리, 모기가 점차 사라짐을 뜻함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 ☞ 처서가 지나가면 모든 식물은 생육이 정지되어 시들기 시작함을 뜻함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의 든 쌀이 줄어든다 ☞ 처서 무렵의 날씨가 중요함을 표현
처서 날 비가 오면 큰 애기들이 울고 간다 ☞ 부안과 청산에서 전해내려오는 속담으로 이 지방은 대추농사가 유명한데 처서에 비가 오면 흉작을 면치 못해 열매를 맺지 못하면 혼사를 앞둔 큰 애기들의 혼수장만 걱정이 앞서기 때문에 이러한 속담이 생겼다고 합니다 즉 처서비를 꺼리는 표현
처서 밑에는 까마귀 대가리가 벗어진다 ☞ 처서 무렵의 마지막 더위가 매우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처서에 장벼 패듯 ☞ 처서 무렵의 벼가 얼마나 성장하는가를 잘 보여주는 속담으로 무엇이 한꺼번에 성하거나 사방에서 요란히 나타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정 칠월 건들 팔월 ☞ 칠팔월이 어정어정 건들건들하는 사이 후딱 지나간다는 뜻으로 다른 때보다 한가한 농사철이라는 것을 재밌게 표현한 말
옛 선인들이 처서 무렵에 해온 풍습 중 하나인 포쇄처럼 무더운 여름 내내 닫혀 있던 장롱문도 열고 이불도 햇볕에 바삭바삭 말려주세요
또 무더위로 고생하셨던 모든분들, 오늘 밤은 시원하게 주무시길 바랍니다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입니다 (0) | 2016.10.25 |
---|---|
국군의 날은 왜 10월 1일인가요? (0) | 2016.10.01 |
24절기 이야기 - 백로 (0) | 2016.09.07 |
24절기 - 입추 (0) | 2016.08.24 |
24절기 - 대서와 관련된 이야기 (0) | 2016.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