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중 하나인 백로는 15번째 절기, 처서와 추분사이에 있으며 양력 9월 9일 즈음입니다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백로는 이 시기에는 밤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고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혀 진정한 가을의 날씨를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백로즈음에는 특히 포도가 제철이라 백로부터 추석 때까지 가장 맛있는 시기여서 백로를 포도순절이라고도 불립니다
백로 무렵에는 장마가 지난 후라 맑고 청명한 날씨가 계속되지만 지금은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해 푸른 가을하늘을 볼 수 없는 것이 무척 아쉽습니다
중국과 우리나라 사이의 국가 간 미세먼지에 관한 환경협약같은 것 좀 만들어 맑고 청명한 가을 하늘을 되찾고 싶은 심정입니다
백로와 관련된 풍속
백로보기 : 백로의 이삭상태는 가을 농사의 성공을 가늠할 만큼 중요해 생긴 풍습으로 백로에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벌초 : 풀의 성장이 멈춰 이 시기에 벌초를 하면 산소가 오랫동안 깨끗하게 보존되어 이 시기의 풍습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백로와 관련된 속담
백로 전 미발 ☞ 이때까지 이삭이 나오지 못한 벼는 더 이상 크지 못한다는 말 (제주도 속담) / 미발 : 패지않다
칠월 백로에 패지 않은 벼는 못 먹어도 팔월 백로에 패지 않은 벼는 먹는다
백로 전 미발이면 알곡 수확물이 없다
백로 전 미발이면 헛농사다
백로 안에 벼 안 팬 집에는 가지도 말아라
백로 아침에 팬 벼는 먹고 저녁에 팬 벼는 못 먹는다
☞ 모두 백로의 이삭 상태로 가을 농사의 성공 기준을 세운 속담입니다. 이삭이 생기는 것을 '패다'라고 말하는데 백로 전까지 벼에 이삭이 생겨야 충분히 이삭 여물 시간이 생기는데 그렇지 않다면 그 벼는 먹을 수 없게 된다는 뜻입니다
오늘은 백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시기는 밤과 낮사이의 온도차이가 크므로 환절기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입니다 (0) | 2016.10.25 |
---|---|
국군의 날은 왜 10월 1일인가요? (0) | 2016.10.01 |
24절기 - 처서 (0) | 2016.08.25 |
24절기 - 입추 (0) | 2016.08.24 |
24절기 - 대서와 관련된 이야기 (0) | 2016.07.22 |